본문 바로가기
인생 자산/독서 자산

[책 리뷰] 위기의 역사 - 오건영 지음

by o_chyong 2023. 10. 15.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o_chyong입니다

제가 이번에 읽은 책은 '위기의 역사' 입니다.

 

경제 지식을 쌓으면서 과연 올바른 투자를 하고 있는지 스스로 물으며 공부하던 중에 과거를 공부하면서 경제위기에 대한 두려움을 줄여보고자 책을 구매하게 되었습니다.

 

본 글에는 간략한 내용 및 줄거리가 담겨있으므로 보다 자세한 내용을 알기 위해서는 직접 독서를 추천드립니다.

위기의 역사 / 오건영 지음
위기의 역사 / 오건영
난이도 ★★☆ : 글을 쓴 작가가 최대한 편하게 풀어서 설명하였으나 애초에 경제개념이 많이 녹아들어가 있어 처음 접하는 독자로서는 어려울 수 있다.
재미 ★★★★☆ : 간단한 투컷 만화로 말하고자 하는 주제를 간략하게 표현하였으며 알기 쉬운 비유를 잘 들어 책을 폈다.
현실성 ★★ : 현실적이다.

교훈 ★★★☆ : 전반적인 역사에 대한 내용이라 스스로 적용하기 나름인 듯 싶다.


1. IMF 외환 위기

- 1997년 대한민국은 IMF에 200억 달러 구제를 공식 요청하였다.

- 원인 (대략적으로 서술하였습니다.)

(1) 단기외채 증가 (국내 금리가 달러금리보다 높아 기업들은 생산을 늘리기 위해 해외 외채 구입, 당시에는 고정환율제 였기 때문에 환율의 변동이 거의 없었음.)

 

(2) 한국의 수출 경쟁력 저하(엔화가치 하락(수출시 상대적으로 일본 제품이 값싸게 다가옴), 반도체 가격 급락)

 

(3) 한국 수출 부진으로 외인들의 한국에서의 돈 회수 시작 (단기 외채 등) 

  → 달러를 갚아야 하는데 달러를 구입하려는 수요만 급상승하여 달러 가격 상승 및 외환보유고 달러 부족


(4) IMF 구제금융 신청 - 그 이후 IMF체제 하에 빚을 갚기 위한 대대적인 구조조정 돌입. *(청년 실직자 대폭 증가)


생각 모먼트 : 과연 제 2의 IMF가 올까? - 외환보유고를 찾아보자.
1996년 당시 외환보유고 대비 단기 외채 : 211.4%  - 현재 외환보유고 대비 단기 외채 35.6% (매우 낮음)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미래는 어떻게 될지 아무도 모른다.

 

2. 소비자 물가 지수와 인플레이션 / 디플레이션

 

- 미국은 장기적으로 소비자 물가 상승폭을 2%대로 유지하고자 한다. 

 

- 오랜기간 미국은 경기 침체를 겪은 탓에, 2020년 전세계를 강타한 COVID-19의 여파를 두려워하여 적극적인 양적완화 정책을 펼치게 된다.

 

- 이후 물가상승폭이 심상치 않자, 연준은 기준금리 인상을 유보하는데, 이 이유도 역시 섣부른 금리 인상은 기업의 성장력을 저하시키고, 가계에 부담이 되기 때문이었다.

 

- 하지만 결국, 인플레이션이라는 괴물이 깨어나게 되고 물가 상승률이 정점을 찍고 현재 2023.10.기준 연준의 기준금리는
5.5%에 육박한다.

생각 모먼트 :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사이 그 중간을 찾기란 정말 어려워 보인다.
현재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차이는 약 2%인데, 이는 외국인들의 자본 유출을 불러올 것으로 생각된다.
* Fed(연준)의 금리가 인하될 경우 자본유출을 막을 수 있는 요인이 된다. 

현재 우리나라는 가계부채가 매우 높고, 기업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한국은행은 현재의 기준금리를 인상시키기를 유보하고 있는 것 같다.

 

 

반응형